지형도 해석 문제는 변별력이 높은 문제이므로 출제자들이 아주 선호하는 부분이라고 했죠..
축척.....축척이 크다와 작다의 의미를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장난감의 스케일을 가지고 설명했습니다. 스케일이 큰 장난감은 자세하게 표현되어 있으나 장난감 정리함에는 1개밖에 들어갈 수 없죠,..마찬가지로 축척이 큰 지도는 지역을 자세하게 표현할 수 있으나 좁은 지역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축척 계산하는 방법을 공부했고요, 지도상에 등고선이 많이 지나가는 지점 간의 거리는 축척 계산한 것보다 더 길게 나온다고 했습니다. 또한 축척은 거리 개념이므로 면적을 비교할 때는 축척의 제곱만큼 차이가 난다고 했고요..
등고선....4가지 종류가 있었습니다. 일반 등고선의 경우 내부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것이고요, 내부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우는 저하등고선을 사용한다고 했습니다. 계곡선과 계곡선 사이에 주곡선은 4개가 들어가 있는 것이 일반적인 형태고요,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두 계곡선의 높이는 같다라고 해석해야 합니다.
능선과 계곡....높은 곳에서 등고선이 굽어 나가있는 부분을 따라 가면 능선(분수계), 반대로 높은 곳으로 굽어 들어와 있는 부분을 따라가면 계곡(하천)이라고 해석했죠. 그리고 계곡과 능선의 단면도를 보면 남향 사면과 북향 사며 등을 해석할 수 있다고 했고요...그리고 계곡에 하천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등고선의 모양을 보면 하천이 흐르는 방향도 알 수 있다고 했습니다.
바라보기.....두 지점 간에 서로 바라볼 수 있는가를 묻는 문제는 결국 두 지점 간의 단면도를 알아야 된다고 했고요..서로 바라볼 수 없는 지점을 출제할 가능성이 많다고, 그 이유까지 설명해줬습니다.
범례.....지도상에 사용되는 기호를 의미하고요..출제된 범례는 행정구역 경계선, 논, 밭, 과수원, 습지, 학교, 교회, 절, 공장, 산성, 암벽, 제방(방조제), 철도, 절벽, 모래(해수욕장), 갯벌, 와지이고요....출제되진 않았으나 알아두면 좋겠다라고 한 기호들은....초지, 숲, 등대, 묘지, 국립공원, 발전소 등이었습니다.
수업 중에 사용한 자료는 지도상의 각종 범례였습니다.
'대기고등학교 > 2학년(28기) 수업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1-7강(영역)-영해, 배타적 경제수역, 독도, 이어도, 4극 (0) | 2012.03.23 |
---|---|
제1-6강(위치)-수리적, 지리적, 관계적 위치 (0) | 2012.03.21 |
제1-4강(전통 지리 사상 2)-고지도, 고지리서 (0) | 2012.03.10 |
제1-3강(전통 지리 사상 1)-풍수지리, 산경도 (0) | 2012.03.10 |
제1-2강(지리학의 주요 개념 2)-지리정보, 원격탐사, GIS, 지리조사과정 (0) | 2012.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