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고등학교/2학년(28기) 수업 자료

제3-4강(하천 지형 1)...하천의 침식, 침식 기준면, 하천 상하류 비교, 하상계수, 감조하천

G-ZONE 2012. 6. 14. 08:28

하천의 침식...측방 침식과 하방 침식, 측방 침식은 곡류하천에서, 하방 침식은 하천 상류에서 활발히 일어납니다.

 

침식기준면...하천이 하방 침식할 수 있는 최저하한선을 의미하며, 대체로 해수면이 침식기준면이 됩니다.

 

상하류 비교...하폭, 유량, 경사, 유속, 퇴적물 등을 비교했으며, 육각형 그래프 읽는 방법 설명했습니다.

 

하상계수...최소유량에 대한 최대유량의 비로, 유량 변동의 정도를 알려주는 수치입니다. 우리나라는 강수의 계절차가 크고, 식생이 빈약하여 하상계수가 아주 높은 편이었습니다. 그리고 도시건설, 직강화 공사, 습지 매립 등은 하상계수를 높이고, 댐, 식목, 준설 사업 등은 하상계수를 낮추게 됩니다. 또한 도시화 전후의 하천 유량 변동 그래프도 살펴봤습니다.

 

감조하천...밀물시 해수가 역류하는 하천으로 조차가 큰 서남해로 흐러드는 하천이 감조하천이 많습니다. 염해, 침수 피해 등을 유발하므로 하굿둑을 건설하기도 합니다. 우리 선조들은 물때에 맞춰 수상교통로로 활용하기도 했습니다.

 

 

수업 중 활용한 자료....하상계수, 하굿둑

제4강(하상계수, 하굿둑).hwp

제4강(하상계수, 하굿둑).hwp
0.16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