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고등학교/2학년(28기) 수업 자료

제5-1강(촌락)...우리나라 전통 농업, 촌락의 형태, 취락 입지 조건, 전통 가옥

G-ZONE 2012. 10. 9. 07:15

우리나라 전통 농업...토지 생산성과 노동 생산성의 개념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농경지 면적보다 농가 수가 더 빠르게 감소하고 있으므로 농가당 경지 면적은 증가하고 있고요. 순수농촌, 근교농촌, 산지농촌을 비교했었습니다.

 

촌락의 형태...집촌과 산촌을 비교했습니다.

 

취락의 입지 조건...득수, 피수, 지형, 교통, 방어와 관련된 취락을 살펴봤습니다.

 

전통 가옥의 유형...겹집과 홑집으로 구분했고요. 관서, 중부, 남부, 울릉도, 관북, 제주의 가옥을 살펴봤습니다.

 

 

수업 중 활용한 자료는...집촌과 산촌의 지형도, 전통가옥의 유형, 우데기 등이었습니다.

 

 

제1강(촌락 형태, 전통가옥, 우데기).hwp

제1강(촌락 형태, 전통가옥, 우데기).hwp
0.34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