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온의 지역차...위도, 해발고도, 수륙분포, 해류 등에 의해 기온의 지역차가 발생합니다. 위도에 따라 태양 입사각이 달라지므로 저위도는 기온이 높고, 고위도는 기온이 낮습니다. 해발고도가 올라가면 기온이 내려가죠. 따라서 열대 지방의 고산 지역은 연중 온화한 기후가 나타나게 됩니다. 해류에 따라서도 난류가 흐르는 지역은 기온이 높고, 한류가 흐르는 해역은 기온이 낮게 나타납니다. 수륙분포는 연교차에 영향을 주게 되죠. 대륙의 영향을 많이 받는 대륙 내부, 대륙의 동안 지역이 연교차가 크게 나타납니다.
그리고 열적도에 대해 살펴봤습니다. 적도와 일치하지는 않고, 북반구로 치우쳐져 있었습니다. 그 이유는 대륙이 북반구에 치우쳐져 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리고 계절에 따라 열적도의 위치가 달라진다고 했습니다.
기온의 변화...대륙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일수록 연교차는 커집니다. 대륙 내부, 대륙 동안, 그리고 고위도로 갈수록 연교차는 대체로 커집니다. 일교차는 건조 지역이 크게 나타나고,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이 일교차가 컸습니다. 그리고 해발고도는 연교차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고 했습니다.
우리나라의 기온....대륙도에 대해 살펴봤고요, 연교차가 클수록 대륙도도 커진다고 했습니다. 대륙의 영향을 받는가, 해양의 영향을 받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연교차를 살펴보면 된다고 했죠. 또한 강수의 계절차가 클수록 대륙의 영향을 많이 받는 기후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는 남북간의 기온차가 동서간의 기온차보다 커다고 했고, 겨울철 기온의 지역차가 여름철보다 커다고 했습니다. 따라서 겨울철 등온선 간격이 더 조밀하게 나타난다고 했고요. 동위도 상에서 동해안과 서해안의 겨울철 기온도 비교해봤습니다. 그 이유도 설명했고요.
기온 역전 현상...지표 부근의 냉각으로 상층보다 기온이 낮아진 현상을 말하죠. 겨울, 새벽, 바람없는 맑은 날, 일교차가 큰 날, 분지에서 잘 발생한다고 했었고요, 안개, 대기오염, 냉해 피해를 유발한다고 했습니다. 그 예방책으로 굴뚝 높이 조절, 바람개비 설치, 산중턱에 농작물 심기, 조깅보다는 석깅 등을 들었죠.
수업 중에 사용한 자료는...열적도, 위도별 태양 입사각, 계절별 등온선 분포, 해류, 연교차와 대륙도, 우리나라의 1월과 8월 등온선, 기온역전, 냉해 예방용 바람개비 등이었습니다.
제2강(열적도, 입사각, 수륙분포, 해류, 대륙.hwp
'대기고등학교 > 2학년(28기) 수업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4강(바람)-탁월풍, 계절풍, 열대 이동성 저기압, 높새바람, 해륙풍과 산곡풍, 제트기류 (0) | 2012.04.06 |
---|---|
제2-3강(강수)-강수 유형, 지역 분포, 계절 분포, 우리나라 강수 (0) | 2012.04.06 |
제2-1강(기후의 이해)-대기대순환, 대기대순환의 이동, 기후요소와 기후인자, 기후와 생활 (0) | 2012.03.29 |
제1-7강(영역)-영해, 배타적 경제수역, 독도, 이어도, 4극 (0) | 2012.03.23 |
제1-6강(위치)-수리적, 지리적, 관계적 위치 (0) | 2012.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