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고등학교/2학년(28기) 수업 자료

제2-4강(바람)-탁월풍, 계절풍, 열대 이동성 저기압, 높새바람, 해륙풍과 산곡풍, 제트기류

G-ZONE 2012. 4. 6. 10:28

탁월풍...무역풍, 편서풍, 극동풍을 말합니다. 대기대순환에서 설명했으므로 간단히 넘겼습니다.

 

계절풍...대륙과 해양의 비열차는 지리적 위치를 설명하면서 했고요, 대기대순환의 계절적 이동은 대기대순환 설명할 때 강의했으므로 간단히 넘어갔습니다. 우리나라의 계절풍 설명하면서 풍향별 빈도, 바람장미 해석하는 방법 설명해줬습니다.

 

열대 이동성 저기압...열대 해상에서 발생하여 고위도로 이동하는 바람, 태풍을 생각하면 됩니다. 풍수해를 유발하기도 하지만 가뭄 해소, 적조 소멸, 대기 청소 등 유익한 면도 있었습니다.

 

높새바람...바람 중에서는 가장 많이 출제되는 부분이죠. 오호츠크해 기단의 영향으로 북동에서 부는 바람을 의미하며, 태백산맥으로 인해 푄 현상이 일어나죠. 그 결과 영서 지방은 고온 건조한 현상이 나타납니다. 높새바람이 부는 시기는 5월-6월 경으로 모내기철입니다. 한창 물이 필요한 시기에 영서 지방은 높새바람이 불면 비가 오지 않기 때문에 가뭄 피해를 입게 되죠. 시험에 주로 출제되는 유형은 5-6월 경의 영동지방(강릉)과 영서 지방(춘천)의 기온과 강수(또는 습도) 자료를 제시하게 됩니다. 강릉이 춘천에 비해 기온이 낮고, 습도가 높은 자료가 제시되면 높새바람과 관련된 문제입니다.

그리고 푄현상과 관련된 내용으로 높새바람, 겨울 동해가 서해보단 온난한 이유, 대구가 극서지이며 소우지가 되는 원인, 영동지방의 산불 등을 설명했습니다.

많은 학생들이 혼돈하는 부분은 높새바람과 푄 현상이 같은 의미로 알고 있다는 것입니다. 즉, 푄 현상이 초여름에 영서 지방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높새바람은 여러가지 푄 현상 중 하나의 현상일 뿐입니다. 높새바람이 초여름에 영서지방으로 불면서 푄 현상을 유발합니다. 푄 현상은 바람이 불어 산지에 부딪치면서 비를 내리면 반대쪽 산지에서는 고온건조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을 말합니다. 산지가 있는 모든 지역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초여름이 아닌 다른 계절에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해륙풍과 산곡풍...해안지방에서 육지와 바다의 비열차로 인해 하루를 주기로 풍향이 바뀌었고, 산지에서는 산정상과 계곡의 비열차로 인해 바람방향이 변했습니다.

 

제트기류...상공에서 부는 서풍기류로 사행한다고 했습니다. 그 결과 이상한파, 이상난동, 폭우, 폭설이 나타나기도 한다라고 했습니다.

 

수업 중 활용 자료는...우리나라 계절풍 풍향, 열대 이동성 저기압, 푄 현상, 산곡풍과 해륙풍, 제트기류였습니다.

 

 

제4강(계절풍, 태풍, 푄, 해륙풍, 산곡풍, 제.hwp

제4강(계절풍, 태풍, 푄, 해륙풍, 산곡풍, 제.hwp
0.31MB